본문 바로가기

검색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대학원뉴스


나를 위한 변화 Change My Life!
부산디지털대학교

대학원뉴스

24-2학기 지도학생 스터디(홍영근 교수님 4차)
  • 등록일 : 24.12.26
  • 조회 : 598

12월 19일 대학원지도학생 스터디 있었습니다. 학위논문을 위해 준비하고 연구주제에 대한 발표 및 논의가 있었습니다. 주제는 3가지로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분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행동억제체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불안민감성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이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홍영근 교수 줌 스터디 4차 모습 1 나. 불안민감성 척도 (ASI-3) 불안민감성 및 그 하위 차원들을 측정하기 위해 불안민감성 지표 제 3판(Anxiety Sensitivity Index-3: ASI-3)을 Lim과 Kim(2012)이 번안한 한국판 불안민감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18문항으로 사회적 염려(6문항), 인지적 염려(6문항), 신체적 염려(6문항) 등 3요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평가 척도: 5점 Likert형(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매우 그렇다) 점수 범위: 18점 ~ 90점 (높을수록 불안민감성 수준이 높음을 의미) 내적 합치도(Cronbach's a): 941 하위 요인: 사회적 염려: .807, 인지적 염려: .855, 신체적 염려: 863 <표 8> 불안민감성 척도의 하위 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하위영역 : 문항번호 / 문항수 / 신뢰도) 사회적 염려 : 1, 6, 9, 11, 13, 17 / 6 / 807 , 인지적 염려 : 2, 5, 10, 14, 16, 18 / 6 / .855 , 신체적 염려 : 3, 4, 7, 8, 12, 15 / 6 / 863 , 전체문항 : 18 / 941

홍영근 교수 줌 스터디 4차 모습 2 슬라이드 1/15 행동억제체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부산디지털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상담심리학과 남숙희

24-2학기 지도학생 스터디. 홍영근 교수 줌 스터디 4차 모습 3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