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나를 위한 변화, Change My Life! 부산디지털대학교

교과목 안내

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Psychology) (3)
  •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심리학은 인간이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다양한 학문영역들과 직․간접적으로 관계하며 따라서 다양한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을 가지고 있다. 본 교과목의 목적은 인간행동의 본질과 원리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
발달심리학 (Developmental Psychology) (3)
  •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성장과 발달과정을 개괄하고 각 단계의 신체, 인지, 심리, 사회성 등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인간발달에 대한 이해력을 확장시키고 각 발달단계의 심리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심리학 (Social Psychology) (3)
  •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관계 속에서, 그 관계가 형성되어 지속되는 세계와 문화와 역사 속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지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이론과 개념을 익히며 이를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사회심리, 나와 타인과 관계 속에서 사회심리를 파악하는 데에 적용하도록 한다.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3)
  • 이상행동을 발견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하는 방법과 예방에 대해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알아본다. 특히 현대인에게서 가장 자주 발견되는 공포증, 우울증, 중독으로 인한 이상행동의 치료와 예방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이상행동의 평가와 정신장애의 유형 및 진단, 주요 증상과 진단의 기준을 이해함으로써 정신장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상담이론 (Theory of Counseling) (3)
  • 상담이론은 상담현장에서 적용되어지는 주요 상담이론의 원리와 개념, 내용을 학습하고, 각 이론에 따른 상담의 목표와 상담과정, 기법 등을 터득하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상담자로서의 역할과 자질을 체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3)
  • 집단상담이 가지고 있는 효율성, 경제성, 실용성을 고려할 때, 집단상담과 치료는 잠재성이 무한하다. 집단상담을 시행하기 위한 과정과 내용,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그리고 집단상담에서 고려해야 할 윤리적, 법률적 쟁점들을 살펴보고 집단상담을 이끌 수 있는 지식들을 습득한다.
가족상담및가족치료 (Family Counseling and therapy) (3)
  • 가정문제, 부부 사이의 문제, 자녀양육문제, 시부모와 갈등을 비롯한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의 인간적 관계 문제 등을 개인 또는 집단으로 상담할 수 있는 이론과 기법에 대해 익힌다.
청소년심리 및 상담 (Counseling and Psychology on Adolescence) (3)
  • 청소년기에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변화 중 특히, 심리적인 변화를 가정, 사회, 학교 등과 같은 청소년의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이해하며, 청소년상담에 필요한 상담자의 역할과 내담자와의 관계, 상담기법등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성인발달과 노인상담 (Adult development and Gerontological Counseling) (3)
  • 성인 초기부터 생의 마지막까지의 역동적인 발달 과정을 다루기 위하여 발달과 노화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성인 발달의 과정과 관련된 고전 및 최신 연구들을 살펴보며 이에 근거하여 개인의 삶을 넓은 관점에서 조망하는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을 할 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힌다.
대인관계상담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unseling) (3)
  • 대인관계에 대해 다양한 심리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친구, 가족, 직장동료 사이에서 원만한 관계를 맺고 살아가면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또한 상담과제에서 대인관계관련 주제에 대하여 어떻게 개입할 수 있을지 다룬다.
범죄심리및상담 (Criminal Psychology and Counseling) (3)
  • 범죄자의 심리적 배경과 동기를 이해하고 다양한 범죄 유형에 따라 특성과 행동 패턴을 분석하며 범죄를 예방하고 개입하는 심리적 기법과 전략을 탐구한다
긍정심리코칭검사 (Assessment in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3)
  • 심리측정에 대한 기본 모델과 이론을 이해하고 긍정심리와 코칭에 활용가능한 다양한 심리측정도구를 코칭에 올바르게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 능력을 갖추는데 목적을 둔다.
정신건강론 (Mental Health) (3)
  • 정신건강의 중요성과 의미, 정신건강을 증진하는 요인, 정신적 문제의 해결에 대한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건강한 정신을 갖추고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긍정심리학 (Positive Psychology) (3)
  • 심리학의 신생 분야인 긍정심리학은 인간 행동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화두인 웰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행복이 무엇이며,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기 위하여 인간행동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다양한 최신 연구들을 살펴보고, 개인의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절차를 적용해 본다.
성격심리학 (Personality Psychology) (3)
  • 성격심리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써 인간 성격(personality)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본 교과목은 인간성격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성격의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이해함을 통해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돕고자 한다.
학습심리학 (Learning Psychology) (3)
  • 인간의 학습과정을 이론화한 행동주의, 인지주의 등에 기반을 둔 학습이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익히고, 실생활에서의 적용방향을 탐색한다.
임상심리학 (Clinical Psychology) (3)
  • 임상심리학은 심리적 및 행동적 문제와 장애들에 대한 진단, 치료 및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것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인간 기능의 지적, 정서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및 행동적 측면’을 더 잘 이해하고, 예견하며, 경감시키기 위해 심리학의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심리측정 및 평가 (Measuring and Assessing Mental Statues) (3)
  • 인간심리의 측정과 평가의 원리 및 방법을 배우고 다양한 심리검사의 실시 및 해석방법을 실습해봄으로써 임상이나 교육현장에서 심리검사 적용을 위한 기본적 능력을 갖추는데 목적을 둔다.
학교상담 (School Counseling) (3)
  • 상담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청소년상담과 학교상담에 대한 특성화를 위하여 실제로 학교에서 일어나는 상담 유형을 학습하여 학교상담 장면에서 실제적으로 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행동수정 (Behavioral Modification) (3)
  • 행동의 기본 원리를 통해 환경이 인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 행동수정 절차를 통해 인간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익히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문화 가족의 상담과 실제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and Practice) (3)
  • 한국 다문화 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문화 상담에 적용가능한 상담이론별 개념, 특징, 장단점과 기법을 실제 상담사례에 적용해볼 수 있다.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Contemporary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3)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및 기법의 흐름을 이해하고, 실제 상담장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심리치료 이론의 철학적 배경, 인간관, 주요 개념, 상담 목표 및 기법을 학습한다.
발달정신병리학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3)
  • 아동의 정신병리적 행동을 발달학적인 측면에서 알아보는 과목으로서 발달의 관점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이러한 지식을 기초로 해서 적절한 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함양한다.
중독과 트라우마상담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Addiction and Trauma) (3)
  • 심리적 고통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다양한 중독 문제를 경험하거나 트라우마를 경험하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약물, 인터넷, 게임, 도박 등 다양한 중독의 유형별 원인과 증상을 파악하고 트라우마와 장기적 영향에 대하여 이해하며, 각각의 문제점에 대하여 예방 및 개입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3)
  • 사회의 테두리를 떼어낼 수 없는 환경 속의 인간(person in environment)으로서 인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성장과 발달과정, 인간의 성격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배우고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상호작용의 이해를 위하여 체계론적 접근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청소년복지론 (Youth Welfare) (3)
  • 청소년복지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정책과 제도 등을 다루어 청소년 복지 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 전문적 실천 능력을 향상시킨다.